유안타 증권 8월 13일 베트남 마진거래 리스트 분석 – TLCV와 투자 활용법
2025년 8월 13일, 유안타 증권 베트남 법인(YSVN)은 최신 마진거래 가능 종목 리스트를 발표했습니다.
이 자료는 단순한 서비스 안내를 넘어, 증권사가 어떤 종목을 신용도·거래 안정성이 높은 종목으로 평가하는지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가 마진거래를 이용할 수 없지만, 종목 선별의 1차 필터링 도구로서 가치가 있습니다.
유안타 증권 베트남과 마진거래 서비스
유안타 증권은 대만 본사를 둔 아시아권 대표 증권사로, 베트남에서 주식·채권·파생상품·마진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현지 마진거래는 기관과 개인 모두의 거래 유동성을 높이는 핵심 도구로, 증권사별 종목 선정 기준과 대출 비율(TLCV) 설정 방식이 차별화 포인트가 됩니다.
마진거래 가능 종목 선정 절차
베트남 증권거래소(HOSE, HNX)는 주기적으로 마진거래 가능 종목과 불가능 종목을 공시합니다.
각 증권사는 이 리스트를 기반으로 대출 비율(TLCV)과 마진 비율(TLKQ)을 자체 결정합니다.
따라서 유안타 증권의 마진 리스트는 거래소가 제시한 기본 틀 위에, 유안타의 신용평가와 리스크 관리 기준이 더해진 결과물입니다.
유안타 증권 8월 13일 마진 리스트 개요
이번 발표에는 금융, 제조, 부동산, 소비재 등 다양한 업종의 라지캡부터 스몰캡까지 수십 개 종목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유안타가 특정 업종·규모에 편중되지 않고, 안정성과 거래 유동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베트남 마진거래 기본 조건 (유안타 기준)
- 대출 비율: 50:50이 기본
- 이자율: 연 12% 내외
- 거래 기간: 기본 90일, 최대 180일 연장 가능
- 유지율·청산 기준: 유지율 35% 이하 경고, 30% 이하 강제 청산
TLKQ와 TLCV 해석
- TLKQ (Tỷ lệ ký quỹ): 마진 비율. TLKQ 50%는 자기 자본과 빌린 자금이 1:1 비율이라는 의미.
- TLCV (Tỷ lệ cho vay): 대출 비율. TLCV 50%는 종목 가격의 절반을 증권사에서 빌릴 수 있음을 의미.
해석 포인트:
- TLCV 50%: 안정성이 높아 ‘A급’으로 평가할 수 있는 종목
- TLCV 20%: 변동성 또는 리스크가 높아 대출을 최소화한 종목
- 활용 팁: TLCV 50% 종목군을 1차 필터로 삼아 기업 조사를 진행하면, 안정성과 유동성을 갖춘 투자 대상을 발굴하는 데 효율적.
주목할 점 – 대형주라고 무조건 안정적이지 않다
빈그룹(Vingroup)과 비엣젯 항공(Vietjet)은 베트남 대표 대기업이지만, TLCV가 30%에 불과합니다.
이는 외국인과 내국인 모두에게 인기 있는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증권사가 대출 비율을 보수적으로 설정하여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의미입니다.
투자 활용 전략
- 리스트 분석: 증권사 마진 리스트는 종목 신용도와 거래 유동성의 간접 지표
- 필터링: TLCV 50% 종목군 중심의 종목 조사
- 리스크 확인: TLCV가 낮은 종목은 변동성과 위험 요인 분석 필수
결론
유안타 증권의 8월 13일 마진거래 리스트는 단순한 종목 안내가 아니라, 현지 시장에서의 신용도와 안정성 평가를 엿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도 이를 활용해 투자 후보군을 좁히고, 베트남 시장 분석의 첫 단계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