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수출 쌀 가격, 다시 400달러/톤 회복
베트남 남부 메콩 델타 지역에서 동춘기 수확이 한창인 가운데, 쌀 수출 가격이 다시 400달러/톤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이는 지난주보다 6달러 오른 수준으로, 동남아 주요 수출국들과의 가격 격차를 점차 줄여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이번 회복세는 수출용 쌀 중 가장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5% 도정미 기준으로, 베트남 식량협회(VFA)에 따르면 지난주 394달러였던 가격이 이번 주 400달러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2023년 하반기 급등 이후 가격이 다소 조정을 받은 뒤, 다시 안정적인 수출가를 회복해가고 있는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국내 쌀 수매 가격은 안정세…일부 품종은 소폭 상승
안장(An Giang)성 농업환경국 발표에 따르면, 현재 메콩 델타 지역의 생산지 쌀 가격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품종은 수요 증가에 따라 소폭 상승했습니다.
품종 | 최근 거래가 (동/kg) | 비고 |
---|---|---|
IR 50404 | 5,600~5,700 | 일반형, 안정세 |
OM 5451 | 5,700~5,900 | 100동 하락 |
Đài Thơm 8 | 6,500~6,700 | 100~200동 상승 |
OM 18 | 6,500~6,700 | 100~200동 상승 |
Nàng Hoa 9 | 6,350~6,500 | 변동 없음 |
한편, 시중 쌀 판매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쌀: 15,000~16,000동/kg
- Jasmine: 18,000~20,000동/kg
- 타이향 장립쌀: 20,000~22,000동/kg
- 대만향 쌀: 21,000동/kg
- Huong Lai: 22,000동/kg
동춘기 수확과 함께 하절기 파종 병행…품종 선택 권장
베트남 각 지역에서는 현재 동춘기 수확과 동시에 하절기(하·추기) 파종이 진행 중입니다.
농업부는 농민들에게 품질 좋고 수요가 높은 인증 종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주요 권장 품종으로는 아래와 같은 쌀이 있습니다.
- 주력 추천 품종: OM 18, OM 5451, OM 4900, OM 6976, Jasmine 85, Đài Thơm 8
- 보완 품종: OM 429, RVT, ST5, ST20, ST24, ST25 (특정 지역 적합)
- 재배 제한 권장 품종: IR 50404, ML 202, OM 576 (20% 미만 권장)
주요 수출국 동향: 인도·태국 가격은 하락세 또는 정체
베트남산 쌀이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인도와 태국의 쌀 가격은 다소 주춤한 분위기입니다.
- 인도산 5% 도정미는 최근 395~401달러/톤 수준으로, 2023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3월부터 100% 파손 쌀 수출을 재개한 데다,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거래가 활발하지 않습니다. - 태국산 5% 도정미는 405달러/톤으로, 지난주와 동일한 수준에서 보합세를 유지 중입니다.
방콕 현지 업자들은 환율 영향과 수요 위축, 인도·베트남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수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수출가 회복은 긍정적…하지만 경쟁은 치열
베트남산 쌀의 수출가가 다시 400달러/톤을 회복한 것은 국제시장 내 신뢰 회복 및 경쟁력 향상 측면에서 고무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인도, 태국, 방글라데시 등 주요 경쟁국들도 각자의 전략을 통해 수출 확대를 노리고 있어, 가격 유지와 품질 개선이 동반되지 않는 한 중장기적 수출 성장세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내 농민 및 유통업체들은 고품질 인증종 사용과 함께, 시장 수요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다변화된 수출 시장 개척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기사 출처: Gạo xuất khẩu trở lại mức 400 đô la Mỹ/tấn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팜녓브엉 회장, VinFast에 아직 22조 7,430억 동 ‘사비 지원 약속’ 남아
KIDO 그룹, 싱가포르·중국·말레이시아 상인 방문…전자상거래 협력 기회 확대
LPBank, 2024년 순이익 74% 급증…비결은 조직 개편과 디지털 전략
핑백: 디지월드(DGW), ‘10억 달러 기업’ 비전에도 주가 하락, 리테일주 중 약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