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가상화폐 거래 5년 시범사업 공식 허용
베트남 정부가 드디어 가상화폐 거래를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였습니다.
2025년 9월 9일, 호 득 폭(Ho Duc Phoc) 부총리의 서명을 거쳐 발효된 가상화폐 자산 거래·발행 규정 결의안은 앞으로 5년간의 시범사업을 통해 정식 거래 플랫폼 운영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간 ‘회색지대’에 머물던 베트남의 가상화폐 시장이 합법적이고 통제된 구조 속으로 전환되는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베트남 가상화폐, 왜 중요한가? – 세계 5위 채택률의 현실
베트남은 이미 약 1,700만 명의 국민이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1,000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됩니다.
글로벌 블록체인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기준으로도, 베트남은 가상화폐 채택률 세계 5위에 오를 정도로 활발한 시장을 형성해 왔습니다.
그러나 명확한 규제 부재 속에 거래소 난립, 투자자 보호 미비, 무허가 해외 플랫폼 이용 등이 만연했습니다.
이번 시범사업은 이러한 불안정성을 제도화된 안전망으로 전환하려는 첫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가상화폐, 제도적 틀 – 강력한 자본 요건과 운영 제한
새 결의안은 단순한 허용이 아니라, 엄격한 조건을 전제로 합니다.
- 자본금 최소 10조 동(약 5,260억 원) 보유 의무
- 자본금의 최소 65%는 기관투자자 출자 조건
- 거래소 운영 기업의 외국인 지분은 최대 49%로 제한
- 거래·발행·결제는 오직 베트남 동(VND)으로만 가능
- 법정화폐·증권 담보형 가상화폐 발행 불가 (스테이블코인, 증권형 토큰 배제)
이러한 요건은 단순히 거래소 난립을 막기 위한 장치일 뿐 아니라, 투자자 보호와 국내 금융 질서 유지라는 목적도 담고 있습니다.
현지 시범사업 – 다낭에서 시작된 첫 실험
베트남 현지 언론(Việt Nam News, Vietnam.vn)에 따르면, 다낭시 인민위원회는 AlphaTrue Solutions의 ‘Basal Pay’ 프로젝트를 36개월간 핀테크 샌드박스 형태로 승인했습니다.
- 5단계 절차: 플랫폼 개발 → 제한 운영 → 확장 → 평가 → 정식 론칭
- 활용 사례: 해외 관광객 송금·결제, 블록체인 기반 동화-디지털 자산 전환
- 투명성 장치: 국제 AML(자금세탁방지) 규칙인 ‘Travel Rule’ 적용
즉, 정부는 일단 지정 도시·기업을 통한 제한적 실험을 시작하고, 성과와 위험 요인을 분석해 전국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향후 제도화 – 2026년 디지털 기술법과 연계
베트남 국회는 이미 2026년부터 디지털 자산을 공식 인정하는 디지털 기술 산업법(Digital Technology Law)을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이번 시범사업은 그 법안 시행 전, 제도적 공백을 메우고 실제 운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는 국가 11대 핵심 기술 분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정부가 단순히 투기적 거래를 관리하려는 것이 아니라, 핀테크·블록체인 산업 자체를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임을 보여줍니다.
전문가와 업계의 시각
- 투자자 보호: 인가 거래소를 통한 계좌 개설이 허용되면서, 무허가 해외 플랫폼을 이용하는 위험은 줄어들 전망입니다.
- 국제 협력: 한국의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Dunamu)가 베트남 국영은행과 협력해 현지 거래소 설립을 지원할 계획도 공개되었습니다.
- 산업 기대감: 현지 블록체인 행사에서는 중앙화 거래소(CEX)와 분산형 거래소(DeFi)의 병행 실험, 리스크 관리용 보험 펀드, FATF 회색리스트 탈피 등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본 기회와 과제
이번 시범사업은 해외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신호입니다.
첫째, 베트남은 인구 1억 명에 달하는 젊고 디지털 친화적인 시장입니다. 합법적 플랫폼이 정착된다면 글로벌 투자 자금이 대거 유입될 가능성이 큽니다.
둘째, 엄격한 규제와 자본 요건은 시장 건전성 확보에는 긍정적이지만, 초기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셋째, 베트남 동(VND) 중심 결제 구조는 환율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외국인 투자자에게 새로운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이번 정책은 단순히 “거래 허용” 차원을 넘어, 베트남을 아시아 신흥 디지털 금융 허브로 키울 수 있을지 시험하는 장기 프로젝트라 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 가상화폐 결론 – 통제와 개방 사이의 실험
이번 5년 시범사업은 단순히 “허용”이라기보다는, 엄격한 규제 하의 제한적 개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정부는 이를 통해 투자자 신뢰 확보 → 제도화 → 국제 금융시장 연계라는 로드맵을 실행하려 합니다.
이미 빠르게 성장해 온 베트남의 가상화폐 시장은 이번 제도화를 통해 “무허가의 회색지대”에서 “합법적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향후 5년간의 시범사업 성과가, 2026년 법제화 이후 베트남 디지털 자산 시장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콘텐츠 다시보기
빈패스트, 국빈 SUV ‘락홍 900 LX’ 공개…방탄차까지 선보였다
소형모듈원자로(SMR), 한국 기업들의 미래 에너지 승부수
푸미흥, 부채 2조 3,412억 동 사상 최고치…이익은 29%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