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B의 자회사 정리 및 배당 계획, 베트남 군인상업은행(MB, 증권코드: MBB)이 2025년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대규모 배당과 계열사 구조조정을 동시에 추진하고 나섰습니다.
배당은 현금과 주식으로 총 35%에 이르며, 소비자금융사 MCredit과 해외 자회사 MBCambodia는 자회사 지위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매각이나 구조 조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5년 이익 목표, 10% 성장 전망
MBB는 2024년 세전 이익 28조 8,290억 동을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는 약 10% 성장한 31조 7,120억 동의 세전 이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자산은 1,370조 동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며, 예금 및 대출은 각각 23%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실채권비율(NPL)은 1.7% 이하로 억제하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22%, 총자산이익률(ROA)은 2% 수준, 영업비용률(CIR)은 30% 미만으로 유지해 업계 상위권을 고수할 방침입니다.
주주에게 35% 배당, 주식배당 비중 압도적
MBB는 2024년 이익 가운데 총 21조 5,560억동을 배당에 활용할 계획이며, 현금 배당은 3%(1조 8,310억 동)에 불과하고, 주식 배당은 무려 32%(19.7억 주 발행)에 달합니다.
이를 통해 자본금은 61조 동에서 81조 3,680억동까지 약 33% 확대됩니다.
이는 전년도 15% 주식배당에 이은 대규모 자본 확충이기도 합니다.
또한 별도로 6,200만 주를 기관 투자자에게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하여 추가로 6,200억 동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MCredit·MBCambodia, 자회사 지위 해제 및 매각 가능성
이번 총회에서는 MBB의 소비자금융 자회사 MCredit과 캄보디아 자회사 MBCambodia의 법적 지위 변경과 함께 자회사에서 제외하는 안건이 상정됩니다.
구체적으로는:
- MCredit은 단일회사(1인 유한회사) 또는 주식회사 형태로 변경,
- MBCambodia는 합작은행/법인형 전환 등을 추진하며,
- 궁극적으로 양사의 지분 매각 또는 보유 지분 축소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MCredit 이자율이 과도하다”, “사채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나오며, 매각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MBV에 5,000억 동 투자, 라오스·아시아 확장도 병행
한편, MBB는 정부의 ‘강제 인수은행(CGBB)’으로 지정된 MBV에 최대 5조 동을 출자할 예정입니다.
향후 MBV는 단독은행, 합작은행, 외국계은행 전환, MBB와 합병 등 다양한 구조로 재편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라오스 지점을 자회사로 전환하고,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대만 등 아시아권 국가에 지사 또는 대표 사무소를 개설하여 해외 네트워크 확장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네티즌 반응: “배당보다 복지 나눔이 더 크다”, “MCredit는 팔아야”
커뮤니티 댓글을 통해 본 시장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 “주식배당 32%, 세금까지 고려하면 주주 손해”, “그냥 현금으로 달라”는 배당 방식에 대한 불만과,
- “MCredit 이자율이 너무 높아 악성 이미지만 키웠다”, “사채 수준이다”는 MCredit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뤘습니다.
- “해외 자산 정리하고 국내 강화는 나쁘지 않다”는 의견도 일부 있었습니다.
정리 및 시사점
MBB의 자회사 정리 및 배당 계획, 이는 자본 확충과 구조 재편, 해외 확장까지 복합적으로 얽힌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고성장과 자산 확대를 바탕으로 ROE 20% 이상이라는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엿보입니다.
특히 자본금 확충을 통한 재무적 여력 확보와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자회사의 정리는 향후 더욱 날카로운 성과 중심 전략을 펼치기 위한 초석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현금 배당 축소에 대한 소액주주의 반감, MCredit의 브랜드 이미지 악화, 그리고 향후 MBV의 구조 전환 리스크 등은 MBB가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기사 출처: MB muốn bán vốn tại MCredit, MBCambodia, chia cổ tức 35% và góp tối đa 5.000 tỷ vào MBV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G7택시 전기차 도입, 빈패스트와 손잡고 ‘녹색 전환’ 가속화
핑백: 미국, 베트남 농산물 관세 면제 제안…양국 농업 협력 확대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