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T 주식회사 기업 분석 – 베트남 ICT 리더의 AI·반도체 도약
지속 시리즈로 기업 분석 리포트를 공개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순서는 알파벳 순서(ABC 순)로 진행되는 가운데, F차례로 ‘FPT 주식회사’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FPT가 베트남 ICT 산업의 대표 기업으로서 어떤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왔는지를 먼저 살펴봅니다.
이어 최근 AI·반도체·자동차 IT 분야에서 추진 중인 전략적 전환을 정리합니다.
또한 재무 구조와 실적 흐름을 통해 FPT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즉, 단순한 기업 소개가 아니라 ‘왜 지금 FPT를 주목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함께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FPT 주식회사 기업 개요
FPT 주식회사(종목코드: FPT)는 베트남을 대표하는 ICT(정보통신기술) 그룹으로, 기술(Technology), 통신(Telecom), 교육(Education) 세 영역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1988년 설립 이후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왔으며, 현재는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글로벌 IT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회사 설립 및 발전 과정
FPT의 성장은 베트남 IT 산업 발전사와 궤를 같이 합니다.
- 2021년: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해외 IT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52% 성장. SaaS 플랫폼 Base.vn 인수를 통해 기업용 솔루션 강화.
- 2022년: 베트남 최초로 반도체 칩을 자체 설계·출시. 해외 신규 계약액이 10억 USD를 돌파.
- 2023년: 창립 35주년을 맞아 글로벌 IT 서비스 매출 10억 USD를 달성하며, 세계적 IT 서비스 기업 반열에 합류.
- 2024년: ‘AI–Bán–Xe–Số–Xanh’(AI·반도체·자동차 IT·디지털·그린 전환) 전략을 선포. AI와 반도체, 그리고 자동차 IT를 신성장축으로 삼아 글로벌 확장에 박차.
사업 분야 및 지역
FPT의 핵심 사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 기술(Technology) – 소프트웨어 아웃소싱,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자동차 IT.
- 통신(Telecom) – 초고속 인터넷, 데이터센터, 디지털 콘텐츠(FPT Play 등).
- 교육(Education) – FPT University를 중심으로 K-12 단계까지 확장, 2024년 기준 15만 명 이상의 학습자 확보.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 싱가포르 등 3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Tier-1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매출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Made by FPT 생태계: 로보틱 자동화 솔루션(akaBot), 클라우드 서비스(FPT Cloud), 온라인 플랫폼(FPT Play), SaaS(Base.vn).
- 반도체 칩: 2022년 첫 출시 이후 2024년에는 70만 개 이상의 주문 수주, AI 칩 분야까지 확장.
- AI 솔루션: NVIDIA와 협력하여 AI 슈퍼컴퓨터 구축, AI Mentor, Vision AI 솔루션 등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
- 자동차 소프트웨어: 글로벌 완성차 및 부품사와 협력해 차량 계기판, HUD,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
최근 주가 흐름
FPT의 최근 주가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간: –1.52%
- 월간: –2.64%
- 분기: +4.25%
- 연간: –8.61%
- 상장 이후: +918.62%
- 52주 최고가: 133,078 VND (2025년 1월 23일)
- 52주 최저가: 90,645 VND (2025년 4월 8일)
현재가는 약 103,000 VND 수준으로, 단기적으로는 조정 국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우상향 흐름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상장 이후 9배 이상 상승했다는 점에서 베트남 대표 성장주의 위상을 보여줍니다.
재무 상태표 분석


FPT 주식회사 (종목코드: FPT)의 재무 상태표를 살펴보면, 지난 몇 년간 자산·부채·자본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변화들이 확인됩니다.
우선 큰 틀에서 보면, 2021년에는 부채가 자본보다 많은 구조였습니다.
하지만 2022년에 들어서면서 단기와 장기 금융부채를 줄이면서 전체 부채 규모가 축소되었고, 이때 자본과 부채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후 2023년부터는 자산이 뚜렷하게 증가하기 시작했고, 이에 맞춰 자본과 부채도 동반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총자산이 약 81조 2,661억 동까지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장기 금융부채가 5,011억 동 → 2조 7,396억 동으로 크게 늘어나며 부채 비중이 확대되었습니다.
단순히 재무적 부담 요인으로만 볼 수 있지만, 이 부채는 모두 고정자산 투자 재원으로 활용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즉, FPT가 미래 성장을 위한 인프라 확충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차입을 늘린 것입니다.
자산 구조를 세부적으로 보면, 유동자산이 꾸준히 늘어난 것과 동시에 비유동자산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비유동자산은 감가상각 효과로 점차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FPT는 매년 투자를 늘리면서 오히려 고정자산 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고정자산 내역을 보면, 건물·기계 설비·관리 장비 등 유형자산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라이선스·토지사용권 등 무형자산까지 폭넓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건설중인 자산(CIP) 항목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 투자가 진행 중입니다:
- 9군 데이터센터: 2024년 말 2,552억 동 → 2025년 상반기 3,342억 동
- 후에 교육단지: 458억 동 → 2,795억 동으로 급증
- FPT Complex 3: 2,351억 동 → 2,362억 동
- AI Factory: 신규 투자 28억 동 반영
이러한 건설중 자산의 증가는 단순한 숫자상의 비유동자산 증가가 아니라, 데이터센터·AI·교육·IT 단지 등 핵심 성장 인프라에 대한 공격적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결국 재무 상태표 분석에서 확인되는 핵심은, FPT가 단기적으로는 차입 확대에 따른 부채 증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위험 요인이 아니라 고정자산 투자라는 성장 기반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향후 이 자산들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장기적인 수익 창출력 강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익 계산서 분석

FPT 주식회사 (종목코드: FPT)의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지난 5년간 꾸준히 매출과 이익이 성장세를 이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매출액은 2021년 약 35조 6,711억 동에서 2024년 62조 9,627억 동으로 늘어나며 연평균 약 21%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조 2,285억 동 → 11조 251억 동, 순이익은 5조 3,493억 동 → 9조 4,274억 동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매출은 연평균 약 21% 성장(CAGR), 순이익은 연평균 약 21.8% 성장(CAGR)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외형 확장에 그치지 않고, 이익 창출 능력까지 고르게 성장해 왔음을 보여줍니다.
2025년 상반기 실적은 매출 32조 7,233억 동, 영업이익 6조 1,233억 동, 순이익 5조 3,358억 동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상반기 수치만 놓고 보더라도 이미 2024년 연간 실적의 절반 이상을 달성한 상황으로, 현재 흐름이 유지된다면 2025년 연간 실적은 매출 65조~66조 동, 순이익 10조 동 수준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익률의 안정성

이익률 측면에서도 FPT는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매출총이익률은 2021년 38.22% → 2025년 상반기 37.66%로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
- 영업이익률은 17% 초반대를 유지하다가, 2025년 상반기에는 18.71%로 개선.
- 순이익률도 15% 내외에서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다가, 2025년 상반기에는 16.31%까지 상승.
즉, FPT는 매출 성장뿐 아니라 이익률 역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오히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개선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본다면
손익계산서 분석에서 확인되는 핵심은 FPT의 실적 성장성과 수익성 안정성입니다.
매출과 이익이 매년 안정적으로 늘어나고, 이익률도 업계 평균을 웃도는 준수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의 흐름을 감안하면, 올해는 10조 동 순이익 시대를 열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의미 있는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현금 흐름표 분석

2025년 상반기 기준 FPT의 현금흐름표를 살펴보면,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이 드러납니다.
첫째,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2024년 상반기 3조 717억 동 수준과 비교하면, 2025년 상반기에는 약 1조 6,836억 동으로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이는 매출과 이익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채권 증가, 재고자산 변동, 선급비용 확대 등 운전자본 항목에서 현금 유출이 크게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즉, 단기적으로 영업이익이 현금화되는 속도가 둔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둘째,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지속적인 유출 구조를 보입니다.
2022년 일시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했으나, 나머지 연도와 2025년 상반기에는 모두 음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5년 상반기의 경우 –7조 2,340억 동의 유출이 발생했는데, 이는 단순히 유형자산(건물, 설비) 투자뿐만 아니라 금융투자 활동이 크게 반영된 결과입니다.
첨부 주석을 보면 단기 대여 및 금융투자가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2025년 상반기 양수 전환을 기록했습니다.
6조 2,548억 동의 순유입이 발생했는데, 이는 장기 금융부채 확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앞서 재무상태표 분석에서도 언급했듯, 늘어난 장기 차입금은 모두 고정자산 투자 목적이며, 여기서 확보된 자금이 투자 활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종합하면, FPT는 현재 고정자산 투자와 금융투자에 공격적으로 자금을 집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영업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차입을 통한 자금 조달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차입금으로 유입된 자금을 단순 지출하지 않고, 일부를 금융상품에 재투자하여 이자 비용을 헷지하려는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현금 유동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경영진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단기적으로는 차입 확대에 따른 재무적 부담 요인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데이터센터·AI·교육단지 등 성장 기반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라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현금흐름표 분석의 핵심은 ‘단기 부담과 장기 성장 모멘텀의 교차점에 FPT가 서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신 뉴스와 전략적 동향
- AI 인프라 투자: 2024년 NVIDIA와 함께 AI 슈퍼컴퓨터 및 AI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
- 글로벌 협력 확대: 2025년 에어버스와 글로벌 공급 체계 업무협약(MSA) 체결. Chelsea FC와 AI 기반 글로벌 전략 파트너십 체결.
- 지속가능성 강화: EcoVadis로부터 Silver 등급을 획득하며 ESG 성과를 인정받음. SAP와의 협업으로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제공.
- 교육 및 인재 육성: 2035년까지 디지털 인재 100만 명 양성을 목표로 대규모 교육 인프라를 확장.
전략적 방향성
앞으로 FPT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AI와 반도체를 축으로 한 글로벌 기술 리더십 강화
-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장 확대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 교육 인프라 확장으로 디지털 인재 양성
- ESG와 친환경 IT 솔루션으로 글로벌 지속가능성 트렌드 대응
종합 결론
FPT 주식회사는 단순히 베트남 최대 IT 기업에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 ICT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자동차 IT라는 차세대 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으며, 동시에 통신과 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단기 주가 흐름은 다소 조정 국면이지만, 상장 이후 9배 이상 상승한 장기적 성과와 글로벌 전략을 감안할 때, FPT는 여전히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종목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난 분석 다시보기
ACB 기업 분석 리포트 – 성장의 가속과 유동성 관리의 과제
BAF 기업 분석 2025 – 연매출 3조 원 스마트팜 도약
CMG 기업 분석 – 연평균 12% 성장, 삼성 SDS와 함께하는 베트남 ICT 대표주
DBC 기업 분석 리포트 – 불황을 딛고 체질을 바꾸는 회복의 공식
Eximbank 기업 분석 리포트: 4년간 44% 자산 성장, 하지만 리스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