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을 대표하는 IT 유통기업 중 하나인 CTCP Thế Giới Số(DGW)가 2024년 4분기에 기록적인 실적을 거두며, 4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200% 증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 기사는 베트남 현지 매체에서 보도된 내용을 번역 및 재구성한 것으로, 베트남 경제 및 동남아 시장 동향에 관심이 있는 독자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DGW 4분기 순이익 200% 증가](https://vn-insight.com/wp-content/uploads/2025/02/DGW-4분기-순이익-200-증가.jpg)
베트남 경제 속 DGW 4분기 순이익 200% 증가의 배경
DGW(Thế Giới Số)는 베트남 현지에서 IT, 전자제품, 가전제품 유통을 활발히 펼치는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 총매출: 5,381억 동(베트남 화폐 단위)
-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매출 22% 증가, 순이익 200% 증가
이처럼 “DGW 4분기 순이익 200% 증가”라는 기록적인 수치를 달성한 것은, 베트남 경제 전반이 회복세에 있고 IT·가전 시장이 활기를 띠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더 나아가 동남아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스마트폰·노트북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실적이 상당한 탄력을 받고 있는 추세입니다.
DGW 실적의 주요 동인
노트북·태블릿 사업의 탄탄한 기여
올해 4분기 노트북·태블릿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7% 성장했습니다.
- 2024년 3분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노트북 수요가 4분기에 약간 주춤했음에도 불구하고,
- MSI, Gigabyte 등 신규 브랜드의 매출이 추가로 반영되면서 꾸준한 성장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PC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베트남 소비자들이 다양한 브랜드를 찾는 경향이 두드러졌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확장
스마트폰 부문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2% 매출 증가라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주력 모델로는 샤오미(Xiaomi)의 Mi 14T, Mi Note 14, Redmi 14C, 그리고 애플(Apple)의 최신 아이폰 16 등이 있습니다.
- 특히 샤오미의 점유율이 베트남 내에서 꾸준히 상승하며, DGW의 매출 확대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 베트남 시장에서 애플 제품은 프리미엄 수요를 견인, 샤오미 제품은 가성비를 선호하는 소비자층을 공략하면서 양쪽 수요를 균형 있게 흡수하는 모습입니다.
사무용·오피스 장비와 IoT 제품
DGW는 데스크톱 PC, 모니터, 서버, 프린터,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등 오피스·IoT 분야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14%의 매출 신장을 기록했습니다.
- 재택근무의 확산과 스마트 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어지면서,
- 인프라 확충을 위해 서버·네트워크 장비를 구입하는 기업들이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입니다.
가전제품 판매량 급증
베트남의 전통 명절인 설(Tết) 시즌 수요가 4분기에 집중되는 만큼, 가전제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나 껑충 뛰었습니다.
- Philips 등의 신규 브랜드 유통이 추가되면서,
- 냉장고·에어컨·생활가전 등 명절 특수를 톡톡히 누린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DGW 4분기 순이익 200% 증가는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골고루 성장 동력을 확보했기에 가능했습니다.
2024년 연간 실적과 주가 동향
DGW의 모회사 기준 2024년 총매출은 2조 653억 동(VND)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고,
- 연간 순이익은 442억 동(VND)으로 2023년보다 30%가량 늘어났습니다.
- 이러한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2025년 2월 5일 오전 10시 기준 DGW 주가는 주당 38,800동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베트남 증권시장은 전통적으로 농수산물, 관광, 부동산 분야가 주도해 왔으나, 최근 들어 IT·전자·스마트기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유통 기업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베트남 시장에서의 기회와 전망
정리하자면, DGW는 2024년 4분기에 주력 사업인 노트북·태블릿, 스마트폰, 오피스 장비, 가전제품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뤄,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200% 증가라는 눈부신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는 베트남 경제가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으며, 해외 브랜드 유통을 통한 시장 확대 전략이 유효함을 보여줍니다.
또한 동남아 시장 동향 전반을 살펴보면, 비대면 업무와 온라인 소비가 계속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IT·전자·가전 부문에서 추가적인 성장 기회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기사 출처: DGW lý giải lợi nhuận sau thuế tăng 200%
지난 기사
베트남 은행 예금 프로모션: 1백만 동부터 시작하는 풍성한 리시 혜택
미국 무역관세가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과 도전
베트남 메트로 1호선: 을사년 뗏 홀리데이 기간의 눈부신 성과와 운영 전략
핑백: 베트남 KIDO Foods 24% 지분 매각 반대: KIDO 그룹 주주들의 결정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