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과민반응, 베트남 정부가 미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신속히 대응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보여준 반응은 ‘지나치게 예민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최근 호찌민증권거래소(HoSE)에서 단 이틀 만에 100포인트 이상 급락한 상황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 정부의 해명, 투자자의 반응은 왜 달랐나?

4월 6일 정부 정례 브리핑에서 도탄쭝(Đỗ Thành Trung) 베트남 재정부 차관은, “이번 미국의 보복관세 조치는 베트남만이 아니라 여러 국가에 적용된 것이며, 베트남 정부는 매우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동시에 “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의 반응이 다소 과도(thái quá) 했다”고 지적하며, “단 2일 만에 HoSE 지수가 100포인트 이상 빠졌다는 것은 지나친 우려의 표현”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신속히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추진 중이며, 기업과 투자자 모두 안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외국인 투자유치 목표는 그대로
이번 보복관세 이슈와 증시 변동에도 불구하고, 재정부는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목표는 유지한다고 밝혔다.
- 2025년 목표:
- 등록 자본: 400억 달러
- 실제 집행 자본: 280~290억 달러
도탄쭝 차관은 이 목표가 도전적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정부는 대형 투자자들과 협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 암호자산 시범 도입, 신중한 접근 강조
한편, 기자단은 최근 재정부가 3월에 제출한 디지털 자산 시범 도입 계획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졌다.
도탄쭝 차관은 “정부는 디지털 자산의 존재와 잠재력을 인정하고 있으며, 관련 법적 틀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 시범 사업은 단순한 암호화폐가 아닌 디지털 자산(자산 토큰화)을 대상으로 하며, 이는 증권과는 다른 범주임을 강조했다.
현재는 초안에 대한 각 부처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추후 법무부의 검토를 거쳐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디지털 자산은 기업들의 자금 조달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는 수단이며, 안전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시범 시행될 것이다.”
정부는 이 실험을 통해 불법 행위(자금세탁, 테러자금 조달 등)를 차단하고,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금융시장을 구축하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 투자자 반응, 댓글에서 엿보는 민심
이와 같은 정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커뮤니티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다.
- “시장은 과민한 게 아니라 조작에 반응했을 뿐”,
- “단지 개인 투자자가 시장을 이끌 만큼 강력해진 것뿐”,
- “ATO/ATC에서 의도적으로 하락 유도한 대형세력 문제다”,
- “세계가 다 떨어졌는데 왜 유독 베트남만 ‘과민’이라 하는가?”
특히 4월 3일 -87.99포인트(-6.68%) 폭락 당시, 800개 이상 종목이 하한가를 기록한 사건은 ‘일반 투자자가 만든 결과가 아니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개미 탓하지 말고 시스템을 개선하라”는 목소리도 높았다.
🔍 결론: 시장 신뢰 회복, 말보다 실천이 우선
도탄쭝 차관의 설명처럼 정부는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체감하는 현실은 다르다.
시장은 언제나 심리의 싸움이며, 실제 조치와 의사소통이 신뢰를 좌우한다.
👉 정부의 빠른 움직임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선 더 정밀한 커뮤니케이션, 투명한 제도 개선, 그리고 투자자 보호 조치의 실질적 실행이 필요하다.
특히 암호자산 도입 등 미래형 정책에서는 더욱더 투명하고 체계적인 시범 적용이 요구된다.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미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 베트남 철강 업계는 왜 흔들리지 않았나?
Novaland 인력 1000명 대규모 채용, 2025년 최대 6880억 동 적자 전망
핑백: 미국의 46% 보복관세, 베트남 경제 어디로 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