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베트남 USD 환율 상승 배경
베트남 경제가 2025년 들어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베트남 USD 환율 상승 소식이 크게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중앙은행(SBV, Ngân hàng Nhà nước)이 발표한 공식 환율이 처음으로 26,000동을 돌파했다는 점이 금융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환율 상승은 달러화가 국제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는 상황과는 상반된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합니다.
미국 달러화가 세계 시장에서 하락 압력을 받고 있음에도 베트남 내 환율은 오히려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원인 분석과 향후 전망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2) 베트남 현지 상황 및 기사 내용 분석
(1) 사상 첫 26,000동 돌파: 공식 환율의 의미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3월 21일, 미국 달러(USD)에 대한 기준 환율을 24,813 VND/USD로 고시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6동 오른 수준으로, 현재까지 기록된 사상 최고치입니다.
동시에 베트남 정부가 허용하는 +/-5% 변동 폭을 고려하면, 시중 은행에서 거래 가능한 USD 환율은 23,572동에서 최대 26,054동에 이릅니다.
여기에 더해 SBV가 참고용으로 제시하는 환율(매입·매도)은 23,623동~26,003동으로, 매도 기준이 사상 처음 26,000동을 넘긴 점이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는 베트남 중앙은행이 달러 가치 관리를 위해 장기간 이어온 정책 기조를 다소 수정했다고도 해석될 수 있어, 경제·금융 전문가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 시중 은행 환율 및 상승 추이
공식 환율뿐 아니라 베트남 시중 은행들도 달러 매수·매도 가격을 일제히 올렸습니다.
현재 주요 은행의 USD 매수 가격은 25,350 ~ 25,380동, 판매 가격은 25,740 ~ 25,760동 정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불과 지난주 말과 비교했을 때도 약 50동 상승한 수치이며, 지난 3월 초에 기록된 25,780동이라는 ‘역대 고점’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3) 암시장(블랙마켓)에서의 동향
공식 환율 상승과 맞물려, 달러 암시장에서도 강한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조사된 암시장 매도가는 25,950 ~ 25,970동, 매수가는 25,850 ~ 25,870동 선에서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하루 만에 무려 100동가량이 뛴 결과로,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환율이 26,000동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작년 말(2024년 12월 말) 25,900동선까지 상승했다가 2025년 1월 들어 급락했던 암시장 환율이 다시 한번 상승 기조를 강하게 보이면서, “사상 최대치 재돌파”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집니다.
올해 들어 달러 암시장 환율은 총 100동가량 올랐으며, 이는 약 0.4% 상승에 해당합니다.
(4) 국제 시장과 반대되는 흐름
흥미로운 점은 전 세계적으로 달러화는 약세 기조를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달러 인덱스(DXY)는 2025년 2월 말 대비 약 3%, 2024년 말 대비 약 4% 정도 하락한 약 104포인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경제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각종 정책 변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그럼에도 베트남 USD 환율 상승이 지속되는 배경에는, 내수시장과 수출·수입 구조에 따른 달러 수요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또한 베트남 중앙은행이 원활한 외환 수급 및 금융 안정성을 위해 정책을 조율해 왔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계속된 동화(VND) 약세를 방어하기 위해 환율을 점진적으로 높이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3) 결론 및 요약: 환율 전망과 시사점
정리하자면, 베트남에서는 국제 금융 시장의 달러 약세 기조와는 상반된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베트남 USD 환율 상승은 사상 처음으로 26,000동을 돌파함으로써 베트남 경제 전반에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시중 은행뿐만 아니라 암시장에서도 달러화 매수·매도 가격이 상승하면서, 베트남 투자자·기업·개인 모두 환율 변동에 더 큰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향후 이 추세가 지속될 경우, 수출기업과 수입기업의 비용 구조나 이익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또한 베트남에서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를 고려 중인 외국인 및 국내 투자자들은 환율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 관리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달러화 약세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베트남 내 환율 정책과 시장 심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볼 만합니다.
만약 추가적인 상승이 이어진다면, 이로 인한 금융·부동산·주식시장 전반의 파급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심 있는 독자 분들은 관련 정보를 꾸준히 모니터링 하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신중한 의사 결정을 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지난 포스팅
Viettel Construction(CTR), 베트남 증권사들은 지금 ‘관망’을 권고 중
핑백: 베트남 국영기업, 두 자릿수 경제성장 위한 혁신 가속 지침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