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4개 성, 광역시 승격 추진 지속.
최근 베트남 정부가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에 나선 가운데, 박닌, 광닌, 닌빈, 카인호아 등 4개 성은 기존대로 직할시 승격(광역시 승격) 전략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베트남 4개 성, 광역시 승격 추진 지속 – 행정구역 개편 배경과 주요 내용
2024년 8월,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광역시 승격 후보지’로 여러 성을 지정한 바 있습니다.
당시 명단에는 박닌, 광닌, 닌빈, 하이즈엉, 카인호아, 빈즈엉, 바리아붕따우 등 7개 성이 포함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52개 성·시의 대규모 통합 및 개편이 추진되면서, 하이즈엉, 빈즈엉, 바리아붕따우 등 일부 성은 각각 하이퐁, 호찌민시에 통합 예정으로 독립적 승격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반면, 닌, 광닌, 닌빈, 카인호아 4개 성은 통합 이후에도 직할시 승격(중앙직할시) 정책 방향을 이어가게 됩니다.
광역시 승격 조건 – 인구, 경제, 도시화 기준 엄격
베트남 4개 성, 광역시 승격 추진 지속.
베트남에서 ‘광역시(중앙직할시)’로 승격하려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인구: 최소 100만 명 이상
- 면적: 1,500km² 이상
- 행정 단위: 최소 9개 이상(시·군·구 단위, 2025년 7월부터 일부 기준 변경 예정)
- 도시화 수준: 시·구·읍 등 비농업 지역 비율 90% 이상
- 경제력: 1인당 GRDP 전국 평균 1.75배, 예산수지 흑자, 3년 연속 경제성장률 전국 평균 이상, 빈곤율 전국 평균 이하 등
또한, 특별/1급 도시 등급 요건, 도시 인프라와 경제구조 조건도 필수로 요구됩니다.
지방 대통합과 향후 행정구역 개편 흐름
이번 개편으로 기존에 독립 승격 후보였던 하이즈엉(하이퐁 통합), 빈즈엉·바리아붕따우(호찌민시 통합)는 중앙직할시 승격 대신 메트로 광역권의 일부가 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향후 베트남은 더욱 효율적인 도시 행정과 대도시권 경쟁력 확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4개 성, 광역시 승격 추진 지속. 닌, 광닌, 닌빈, 카인호아 등은 통합 이후에도 독자적으로 광역시 승격 로드맵을 유지하며, 경제·행정·도시화 지표를 꾸준히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결론 및 시사점
베트남 4개 성, 광역시 승격 추진 지속.
베트남은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대도시 중심의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향후 4개 성이 광역시로 독립 승격하게 되면,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도시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을 전망입니다.
기사 출처: 4 tỉnh vẫn giữ định hướng lên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sau sáp nhập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KRX 시스템 적용, 외국인 거래 룰 실시간 전환 청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