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부가 베트남 공공투자 확대를 통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와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라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속속 추진되고 있는데요.
2025년까지 최소 3,000km 고속도로 건설, 롱탄 국제공항 준공, 주요 항구 확충 등 굵직한 계획들이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GDP 8% 이상의 성장률 달성을 목표로, 공공투자 자금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건설, 원자재, 물류, 금융 등 여러 분야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1) 투자 확대와 경제 성장의 긴밀한 연관성
베트남 정부가 공공투자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기로 한 배경에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자리합니다.
- 2025년 GDP 목표치 8% 달성을 위해, 약 360억 달러(약 875조 동) 추가 공공투자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 이와 같은 공격적 예산 편성을 통해, 인프라 확충에 대한 정부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경제 전문기관과 국제 금융사들도 한목소리로 “공공투자 확대가 향후 베트남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전망합니다.
예컨대 VinaCapital의 거시경제 전문가인 마이클 코칼라리(Michael Kokalari, CFA)는 “수출 둔화를 공공투자가 보완해줄 것”이라 평가했으며, 증권사 ACBS 역시 “정부 지출이야말로 경제 활력을 지속하는 열쇠”라고 밝혔습니다.
2) 주요 사업 및 수혜 산업 분석
(1) 핵심 인프라 사업 동향
- 고속도로 건설:
2025년 말까지 최소 3,000km 고속도로를 완공해 전국의 운송 체계를 개선할 방침입니다. 이미 진행 중인 ‘북남 고속도로 2단계’와 더불어 향후 일부 구간(예: 하이퐁-꽝닌, 후우응이-찌랑 등)이 차례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 롱탄 국제공항 프로젝트:
베트남 남부 지역의 항공 물류 허브 역할을 맡을 롱탄 국제공항 건설이 한창입니다. 이 공항은 국내선뿐 아니라 국제선 운송 경쟁력을 높여 외국인 투자 유치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항구 및 공항 터미널 확충:
탄손녓(T3), 노이바이(T2) 터미널, 각종 항구(락히엔, 떤까우, 리엔찌에우 등)의 확장 공사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물류 인프라 구축과 함께 수출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2) 건설·인프라 기업의 직접 수혜
공공투자 예산 확대로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업종은 단연 건설업입니다.
주요 건설업체들은 국가적인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어 수주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북남 고속도로, 롱탄 국제공항, 도로·항만 신설 등에 입찰해 수익성과 사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MBS 증권에 따르면 2025년 공공투자 지출은 전년 대비 최대 18% 증가가 예상되며, 실제 예산 집행률도 90~9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는 건설업체의 실적 개선과 함께 도로 운영업체(BOT)에도 호재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트륭르엉-미투언(Trung Lương – Mỹ Thuận) 구간처럼 이미 통행량이 크게 늘어난 구간의 BOT 사업자는 추가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원자재·소재 분야의 동반 성장
철강, 시멘트, 아스팔트, 골재(자갈·모래 등) 시장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원자재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베트남 대표 철강업체인 호아팟(Hòa Phát) 등은 대형 인프라 공사 물량 확보로 매출 확대를 기대할 만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모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해사(海砂) 활용 방안을 모색하며, 그만큼 정부 차원의 제도적·행정적 지원이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4) 항만·물류 및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
- 항만·물류: 공항·고속도로·항만 등 인프라가 고루 개선되면, 물류 흐름이 빨라지고 비용이 절감됩니다. 자연스럽게 수출 경쟁력과 해외 투자 유치 효과를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가 기대됩니다.
- 금융권(특히 국영은행): 공공 프로젝트 자금 지원 및 보증을 제공하는 국영은행들은 안전한 대출 포트폴리오를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큰 만큼 대출 수익도 커지지만, 동시에 정부 보증 등으로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3) 베트남 공공투자 확대가 가져올 미래
베트남 공공투자 확대는 2025년 목표인 8% 이상의 경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건설, 원자재, 항만·물류, 금융업계가 동반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베트남의 투자 매력을 높여 해외 직접투자(FDI)까지 끌어들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제도 개선과 비즈니스 환경 정비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공공투자법, PPP법, 기업법 등의 개정이 속도를 내면서, 인허가 과정 간소화와 투명성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투자 유치→인프라 확충→경제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핵심 장치가 될 것입니다.
기사 출처: Chính phủ đẩy mạnh đầu tư công, các nhóm ngành nào hưởng lợi?
핑백: BSR-KBR, 지속가능 항공유(SAF) 협력으로 에너지 전환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