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급등, 베트남 금시장이 연일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4월 16일 오전 기준으로 SJC 금 시세는 매입가 1량당 106.8백만 동, 판매가는 109.8백만 동까지 치솟으며 110백만 동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의 배경은?
금값의 급등세는 단순한 베트남 현지 이슈를 넘어서 글로벌 경제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최근 미국 경제가 생산 둔화를 겪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 기조를 조기 전환할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달러화의 약세가 지속되면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 Kitco.com 기준, 4월 16일 오전 9시경 금 국제가는 온스당 3,267.8달러로 하루 새 36달러 가까이 상승.
- 달러인덱스(DXY)는 다시 100포인트 아래로 하락하며 금값 상승에 힘을 보탬.
국내 주요 금 제품 시세
금 종류 | 매입가 (백만 동) | 판매가 (백만 동) | 변동 폭 |
---|---|---|---|
SJC 금 | 106.8 | 109.8 | +1.3 ~ +1.8 |
SJC 금 반지형 | 104.8 | 107.8 | +1.8 |
DOJI 금 반지 | 104.8 | 107.8 | +1.6 |
Phú Quý 금 반지 | 104.5 | 108.0 | +1.6 ~ -0.5 |
전문가와 투자자 전망
Kitco News 설문조사에 따르면 월가 전문가 94%, 개인 투자자 69%가 단기적으로 금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주식시장에서 손실을 경험한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금 투자를 선호하는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 베트남 투자자 댓글 반응 모음
- “주식 샀으면 손해, 금은 그냥 들고 있으면 30% 수익.”
- “나 2주 전에 샀는데 지금 1량당 700만 동 수익남ㅋㅋ”
- “Hoà Phát보다 금이 낫네 진짜…”
이처럼 실물 자산으로서의 금은 장기 보유에 따른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투자 수단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사점
금값 급등은 단기적인 현상이 아닌 글로벌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적인 흐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성과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치면서 금은 더욱 매력적인 피난처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금값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보유 포트폴리오에 일정 부분 실물 자산을 고려하는 전략도 필요해 보입니다.
기사 출처: Giá vàng tăng dựng đứng, liên tiếp lập đỉnh lịch sử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ACBS 전문가의 단기 매매 경고, 자산 배분 전략에 주목
SHB 자본금 증액, 2025년 14.5조 동 이익 목표 제시
ABS 추천 유망주, 4월 투자 기회로 제시된 4대 종목은?
핑백: 시진핑 베트남 국빈방문, 양국 관계 ‘전례 없는’ 협력 청사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