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FDI 유입 1분기 110억 달러 육박.
2025년 1분기 동안 베트남은 총 109억 8,000만 달러에 달하는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하며 전년 동기 대비 34.7%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수치는 베트남 경제가 여전히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시장임을 보여줍니다.
📊 자본 증액과 지분 인수, FDI 성장의 동력
이번 분기의 FDI 증가는 주로 기존 프로젝트의 자본 증액과 지분 인수 거래의 활발한 움직임 덕분입니다.
- 총 401건의 프로젝트가 자본을 추가 투자했으며, 그 금액은 약 51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5.1배 증가했습니다.
-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 인수 및 합작 거래는 810건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고 총 금액은 약 14억 9,000만 달러로 83.7%나 늘었습니다.
반면 신규 등록 FDI는 약 43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5%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단기적인 조정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3월 한 달간 신규 FDI 등록은 1월 대비 66.5% 증가, 2월보다 2.4배 많은 금액이 유입되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실제 자금 집행도 증가세
1분기 동안 베트남에서 실제로 집행된 FDI는 약 49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등록을 넘어 실제 경제에 유입된 외국 자본의 규모가 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제조업과 부동산, 여전히 인기 업종
FDI 유입은 18개 산업군에 걸쳐 분산되었으며, 특히 제조업과 부동산 부문에 집중되었습니다.
- 제조업: 약 67억 9,000만 달러, 전체의 61.9% 차지 (전년 대비 26% 증가)
- 부동산: 약 23억 9,000만 달러, 전체의 21.8% (전년 대비 44.1% 증가)
- 기타 주요 업종:
- 전문기술·과학·기술 활동: 약 5억 9,100만 달러
- 도매·소매업: 약 2억 7,200만 달러
🌏 싱가포르, 한국, 중국이 주요 투자국
베트남에 투자한 73개국 중
- 싱가포르는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27.6% 비중으로 1위
- 한국은 20억 4,000만 달러, 전년 대비 2.7배 증가하며 2위
- 그 뒤를 중국, 일본, 대만이 잇고 있습니다.
🏙️ 북부·남부 모두 FDI 유입 활발
지역별로는 다음 세 도시가 FDI를 가장 많이 유치했습니다.
순위 | 도시 | 유입 금액 | 비중 |
---|---|---|---|
1위 | 박닌성 | 19억 달러 | 17.3% (전년 대비 2.1배) |
2위 | 호찌민시 | 14억 3,000만 달러 | 13% (58.3% 증가) |
3위 | 하노이시 | 14억 2,000만 달러 | 12.9% (23.6% 증가) |
이 외에도 동나이, 바리아-붕따우, 하남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 커뮤니티 반응 요약: “수치와 현실은 다르다?”
기사에 대한 베트남 투자 커뮤니티의 반응은 다양한 시각이 엇갈렸습니다.
- 낙관파: “FDI 수치는 투자자들이 여전히 베트남을 믿고 있다는 증거”
- 신중파: “이 수치는 등록일 뿐, 실제 집행과 거시 환경은 아직 미지수”
- 회의파: “FDI는 들어와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증시에서 매도세를 보이는 중”
- 변수 경고: “1분기는 미국의 추가 관세 발표 이전 시점, 2~3분기 수치를 봐야 정확하다”
특히 환율, 금리, 미중 관계, 통상 마찰 등이 향후 FDI 흐름에 중요한 변수로 꼽혔습니다.
🔍 결론: 베트남, 여전히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까?
이번 1분기 FDI 흐름은 자본 유입의 다양성과 회복 탄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부동산 분야의 꾸준한 인기는 산업 인프라와 경제 구조에 대한 신뢰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관세 이슈, 지정학적 갈등, 환율 리스크 등은 FDI의 향후 추이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수치보다는 중장기적인 정책 대응력과 거시경제 흐름을 함께 고려하는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합니다.
기사 출처: Gần 11 tỷ USD vốn FDI đăng ký vào Việt Nam quý 1/2025
🏷️ 지난 포스트 다시보기
호찌민 – 롱탄 – 여우 져이 고속도로 통행료 7% 인상 예고
형법 개정안에서 사형 폐지, 고위층 범죄에 면죄부 논란
Airbnb 관리 방안, 베트남서 본격 논의…등록·과세 제도 도입 필요성 대두
탄손녓 T3 국내선 청사 개장, 2025년 4월 30일부터 본격 운행
미국 베트남산 철강에 반덤핑 관세 예고…화센 최대 59% 부과
핑백: Novaland 인력 1000명 대규모 채용, 2025년 최대 6880억 동 적자 전망